國寶 바라기 92

인왕제색도, 금강전도

2025년 4월 8일 호암미술관 "겸재 정선" 전시회에서 두 거물을 다시 만났습니다.제화시" 만이천봉 개골산, 누가 참 모습 그릴런가. 뭇 향기 동해 밖에 떠오르고, 쌓인 기운 세계에 서려 있네. 몇 송이 연꽃 해맑은 자태 드러내고, 솔과 잣나무 절간일랑 가려있네. 비록 걸어서 이제 꼭 찾아간다해도, 그려서 벽에 걸어 놓고 실컷 보느니만 못하겠네." 갑인동제 =갑인년 겨울에.... 다른 사람이 쓴 것이라고도 합니다.사자바위보덕굴: 7미터 기둥에 의지해서 절벽에 붙은 암자묘길상장안사와 비홍교

國寶 바라기 2025.04.13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谷城 泰安寺 寂忍禪師塔)

2025년 3월 11일 지정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谷城 泰安寺 寂忍禪師塔)Stupa of Master Jeokin at Taeansa Temple, Gokseong~~ 설명은 국가유산청 홈페이지에서 퍼왔습니다~~~ 통일신라시대 구산선문(九山禪門)중 동리산문(桐裏山門)*을 개산(開山)한 적인선사(寂忍禪師) 혜철(慧徹, 785~861)*의 부도탑으로 신라 경문왕으로부터 시호(諡號)는 적인(寂忍), 탑호(塔號)는 조륜청정(照輪淸淨)을 받았다.* 신라 헌덕왕(809~826) 이후 당(唐)나라에서 선법(禪法)을 받은 유학승들이 귀국하여 형성한 선종(禪宗)의 9개 파(派)중 태안사를 중심으로 형성된 문파(門派)* 814년 당(唐)에 유학하여 선법(禪法)을 전해 받고, 동리산 태안사에 머물면서, 동리산문(桐裏山門)..

國寶 바라기 2025.04.13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 청자" 전시회의 국보들 11건

국립중앙박물관 2024. 11.26~2025. 3. 3. 푸른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 청자 전시회 국보들을 모아봅니다.청자 어룡 모양 주전자도기 기마 인물형 뿔잔청자 사자모양 향로청자 투각 칠보문 뚜껑 향로청자 양각 동화 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청자 귀룡 모양 주전자청자 상감 국화 모란 무늬 참외모양 병청자 상감 모란 넝쿨무늬 조롱박 모양 주전자청자 퇴화 점문 나한 좌상청자 인물형 주전자청자 참외모양 병 "안복을 누린다"는 말 , 이럴 때 꼭 맞는 말이지요?

國寶 바라기 2025.03.04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 (金泉 直指寺 釋迦如來三佛會圖)Buddhist Painting in Daeungjeon Hall of Jikjisa Temple (Buddha Triad)2024. 12. 26. 국보 지정약사여래설법도아미타여래설법도영산회상도 ~~ 아래 설명은 국가유산청 홈페이지에서 퍼왔습니다~~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는 수화승 세관(世冠)을 비롯, 신각(神覺), 밀기(密機), 월인(月印) 등의 화승들이 1744년(조선 영조 20) 완성해 직지사 대웅전에 봉안한 것이다. 중앙의 영산회상도와 좌측의 약사여래설법도, 우측의 아미타여래설법도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작 당시 모습 그대로 보존되어 오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이 작품은 조선 후기에 유행한 공간적 삼불회도의 전형으로..

國寶 바라기 2025.03.02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陜川 海印寺 靈山會上圖)Buddhist Painting of Haeinsa Temple (The Vulture Peak Assembly)2024. 12.26. 국보 지정 ~~이 설명은 국가유산청 홈페이지에서 퍼왔습니다~~ 해인사 영산회상도는 화기에 있는 기록을 통해 1729년(조선 영조 5)이라는 제작 연대와 의겸(義謙)을 비롯, 여성(汝性), 행종(幸宗), 민희(敏熙), 말인(抹仁), 만연(萬演), 지원(智元), 범안(椘眼), 도현(道玄) 등 제작 화승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화이다.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석가여래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하였는데, 가운데 석가여래는 크게 부각하고 그 외 도상들은 하단에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작게 그려 상승감 있게 표현하였다.화면 하단..

國寶 바라기 2025.03.02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2024. 5. 호암미술관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전시회에서 송광사 팔상도 4폭을 친견했습니다. 송광사를 몇 번 갔지만 성보박물관과는 인연이 닿지 않더군요.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順天 松廣寺 靈山會上圖 및 八相圖)쌍림열반상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는 송광사 영산전에 봉안하기 위해 일괄로 제작한 불화로 영산회상도 1폭과 팔상도 8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산회상도 화기에 ‘영산회상(靈山會上)’과 같은 화제나 후불벽 봉안을 의미하는 ‘후불도(後佛圖)’ 대신 ‘팔상회(八相繪)’라는 용어를 사용해 해당 영산회상도가 팔상도의 주불화로 일괄 제작되었음을 강조하고 있다.팔상도는 석가모니의 생애에서 역사적인 사건을 8개의 주제로 표현한 불화로, 팔상의 개념은 불교문화권에서 공유되었지만 이..

國寶 바라기 2025.03.02

공주 마곡사 오층 석탑

2025년 1월 9일 국보 지정 2021년 가을날 마곡사에 들러서 이 국보를 친견했었지요.~~설명은 국가유산청 홈페이지에서 퍼왔습니다~~공주 마곡사(公州 麻谷寺)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중의 하나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이다. 자장율사(慈藏律師, 590~658) 혹은 보조국사 체징(體澄, 804~880)이 창건하였다고 기록으로 전하나,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은 없으며, 고려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공주 마곡사 오층석탑(公州 麻谷寺 五層石塔)」은 조성시기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고려후기 충청과 호남 지역에 성행한 백제계 석탑 양식을 취한 전형적인 고려시대 석탑으로 2층 탑신에 조각된 사방불의 세부 표현기법 등에서 고려후기(14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특..

國寶 바라기 2025.03.02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靑磁 銅畵蓮花文 瓢形 注子)Celadon Gourd-shaped Ewer with Lotus Design in Underglaze Copper 1970 .12.30.국보로 지정되었어요. 삼성 리움미술관의 소장품입니다."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 청자" 전시회에서 만났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는 처음 전시 된 작품이랍니다. ~~설명은 국가유산청 홈페이지에서 퍼왔습니다~~  고려 중기에 만든 청자 주전자로 높이 33.2㎝, 밑지름 11.4㎝이다.표주박 모양의 몸통에 표면은 연잎으로 둘러싼 형태이다. 꽃봉오리 모양의 마개를 하고 있으며, 잘록한 목 부분에는 동자가 연봉오리를 두 손으로 껴안아 들고 있는 모습과 연잎으로 장식하였다. 손잡이는 덩굴을 살짝 구부려 붙인 모양으로..

國寶 바라기 2025.03.02

청자 퇴화점문 나한좌상

예전에 이 유물의 국보 번호는 173번 이었어요.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국보니까 볼 수 있는 기회가 없었거든요. 이런 국보를 뵙는 것은 참 신나는 일입니다."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 청자" 전시회에서 드디어 만났습니다. 청자 퇴화점문 나한좌상 (靑磁 堆花點文 羅漢坐像)Celadon Seated Arhat with Paste-on-paste White Dot Design~~국가 유산청 홈페이지에서 퍼온 설명입니다~~ 1950년대 강화도 국화리에서 발견되었는데, 당시에 여섯조각으로 부서져 있던 것을 복원시켜 놓은 것이다.바위 모양의 대좌(臺座) 위에 팔짱을 낀 채 작은 책상에 의지하여 오른쪽 무릎을 반쯤 일으켜 세우고 앉아 고개를 약간 숙이고 있다. 눈은 반쯤 뜨고 있는데, 눈썹과 눈이 수려하고 코는 ..

國寶 바라기 2025.03.02

국립춘천박물관에서 다시 만난 국보들

금동보살삼존입상 (金銅菩薩三尊立像) 1970.12.30. 국보 지정. 삼성리움미술관 소장품이었는데 고 이건희 회장님의 기증품입니다.2021. 9. 7. 처음으로 배관했지요. 기증품 특별전이 열렀던 국립중앙박물관에서....2022. 6. 23.  그 날도 이 국보를 만났었고요. 다시 국립춘천박물관에서 뵙게 되었군요^^  ~~설명은 국가유산청 홈페이지에서 퍼왔어요.~~ 읽어보니 왜 춘천 전시회에 나오셨는지 알겠네요.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는 이 보살상은 하나의 광배(光背)에 삼존상을 배치한 형식이며, 불신(佛身), 광배, 대좌(臺座)가 함께 붙어 있는 독특한 작품이다.본존인 보살은 머리에 관(冠)을 쓰고 있으며 얼굴은 둥근 편이다. 가슴에는 대각선으로 내의를 얇게 걸쳐 입었고, 두껍게 ..

國寶 바라기 2024.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