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寶 바라기 95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위 사진 2점과 설명은 문화재청 홈페이지에 퍼왔습니다~ 陜川 海印寺 法寶殿 木造毘盧遮那佛坐像 및 腹藏遺物 2022. 10. 26 국보 지정, 불상 1구 복장유물 63건 104점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은 원래의 봉안전각은 알 수 없으나 한동안 팔만대장경이 봉안된 법보전의 주불로 봉안되었다가 지금은 주불전인 대적광전의 오른쪽에 위치한 대비로전(大毗盧殿)에 봉안된 불상과 그 복장유물이다. 불상의 제작 시기는 불상의 양식과 도상, 과학적 조사를 토대로 통일신라 9세기 후반으로 추정된다. 이는 해인사가 802년 창건된 사실에 비추어 법보전 비로자나불상이 해인사 창건시기와 크게 멀지 않은 시점에 조성되었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불상으로서 그 역사적ㆍ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는 ..

國寶 바라기 2023.05.11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위 사진과 설명은 문화재청 홈페이지에 퍼왔습니다~ (靑陽 長谷寺 金銅藥師如來坐像 및 腹藏遺物) 2022. 6. 23. 국보 지정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으나, 이후 발원문을 포함한 복장유물이 추가로 연구됨에 따라 제작시기와 발원자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게 되었다. 발원문에는 1346년(고려 충목왕 2)이라는 정확한 제작시기가 있어, 고려 후기 불상 연구의 절대 기준을 제시해주고 있다. 고려 후기 불상조각 중 정확한 약기인(藥器印)을 취하고 있는 약사여래의 도상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머리와 이목구비, 신체와 불신의 표현 등에서 14세기 불상의 전형 양식을 간직하고 있으며, 이 시기 불상 중에서도 뛰어난 예술적 조형성을 지니고 있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주조기술법에 있어서도 내외부의 주조결함이 거의 없을..

國寶 바라기 2023.05.11

합천 해인사 건칠 희랑대사 좌상(국보333)

2020. 10 21에 국보로 제정 되었습니다. 2018년 12월 고려 건국 1000년을 맞이하며 열린 "대 고려전" 에 왕건의 스승인 희랑대사님이 납시었지요. 나는 그 전시회에서 이 좌상을 뵈었습니다. 가슴에 뜷린 구멍이 눈에 확 들어 옵니다. ~~문화재청 설명을 가져왔습니다~~ 국보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은 신라 말∼고려 초에 활동한 승려인 희랑대사(希朗大師, 10세기)의 모습을 조각한 것이다.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유일한 초상조각[祖師像;僧像]으로서, 고려 10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사한 시기 중국과 일본에서는 고승(高僧)의 모습을 조각한 조사상을 많이 제작했으나, 우리나라에는 유례가 거의 전하지 않으며 이 작품이 실제 생존했던 고승의 모습을 재현한 유일한 조각품으로 남아 있..

國寶 바라기 2022.06.06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국보 32),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국보 52호)

"국보 제**호" 처럼 몇 호라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했습니다. 그래도 배관한 것과 못 한 것을 찾아낼 때는 참 유용한 것인데...... 해인사 팔만대장경판을 보기 위해서 토요일 템플스테이를 신청했지요. 대장경판전을 볼 뿐 내부 순례를 할 수 없었는데 800년만에 일반에 공개된다고 해서 작년 가을부터 인터넷 예약을 광클릭했지만 그런 행운이 나에게는 없었거든요. 손으로 만져 볼 수는 없지만 내부에서 먼지를 일으키며 흐르는 바람결은 제대로 느낄 수 있으니 크기가 다른 광창의 조화는 신비롭기도 했지요. 국보 2 건을 한꺼번에 배관하는 것도 참 행복한 일입니다. 합천해인사 대장경판(국보32호: 나는 번호 그냥 쓰렵니다) ~ 설명은 문화재청에서 가져왔어요~~~ 대장경은 경(經)·율(律)·논(論)의 삼장(三藏)을 ..

國寶 바라기 2022.06.06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2021.6.23. 국보로 지정되었습니다. 그러나 국보 번호는 없습니다. 번호가 의미 없기 때문이라나요? 불상 3구와 후령통 2건과 시주질2건 포함입니다. 국보로 지정되기 전에도 화엄사를 여러번 갔었지만 국보로 지정된 후에는 화엄사 부처님보다 유명한 홍매화와 들매화를 보러 갔다가 다시 친견했어요. 그러나 사진은 ㅠㅠㅠ(말 할 수 없어요~~~~) ~~아래 설명과 위 사진은 문화재청 홈피에서 가져왔습니다.~~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은 화엄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1635년(인조 13) 조선 후기 유명 조각승인 청헌(淸軒, 淸憲)과 응원(應元), 인균(印均)을 비롯해 이들의 제자들이 협업해 완성한 17세기를 대표하는 불교조각이다. ‘삼신불’은 법신(法身)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 보신(報身..

國寶 바라기 2022.04.17

국보 62호 김제 금산사 미륵전

모악산에 자리한 금산사는 백제 법왕 2년(600)에 지은 절로 신라 혜공왕 2년(766)에 진표율사가 다시 지었다. 미륵전은 정유재란 때 불탄 것을 조선 인조 13년(1635)에 다시 지은 뒤 여러 차례의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거대한 미륵존불을 모신 법당으로 용화전·산호전·장륙전이라고도 한다. 1층에는 ‘대자보전(大慈寶殿)’, 2층에는 ‘용화지회(龍華之會)’, 3층에는 ‘미륵전(彌勒殿)’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1층과 2층은 앞면 5칸·옆면 4칸이고, 3층은 앞면 3칸·옆면 2칸 크기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한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지붕 네 모서리 끝에는 층마다 모두 얇은 기둥(활주)..

國寶 바라기 2021.10.01

국보 84호 서산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아~~~~백제의 미소......국보바라기라서 국보를 보러갈 때 새 힘이 납니다. 이미 세 번은 참배한 적이 있지만 포스팅을 잘해보렵니다. ~~~~아래 설명은 문화재청 홈피에서 퍼왔습니다~~~~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 계곡을 따라 들어가면 층암절벽에 거대한 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보살입상, 왼쪽에는 반가사유상이 조각되어 있다. 흔히 ‘백제의 미소’로 널리 알려진 이 마애불은 암벽을 조금 파고 들어가 불상을 조각하여 형성되었다. 연꽃잎을 새긴 대좌(臺座) 위에 서 있는 여래입상은 살이 많이 오른 얼굴에 반원형의 눈썹, 살구씨 모양의 눈, 얕고 넓은 코, 미소를 띤 입 등을 표현하였는데, 전체 얼굴 윤곽이 둥글고 풍만하여 백제 불상 특유의 자비로운 인상을 보여준다. 옷은 두꺼워 몸의 윤곽이 드러..

國寶 바라기 2021.10.01

국보 299호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충남 공주 신원사 괘불전 "빛을 펼치다" 4월부터 COVID19 상황이 좀 좋아지기를 기다렸으나 기약이 없고, 아스트라제네카라고 남들이 갈등하는 동안에도 이 전시회를 볼 생각으로 불평도 망서림도없이 백신 접종 완료했고, 2021. 9월7일 마감이 얼마 남지 않았기에 KF94 꼭꼮 단단히 쓰고, 괘불님을 배관하러 갔습니다. 언제나 크기에 압도 당하면서 먼저 머리 숙여 삼배를 올리지요. 이런 보물을 남겨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지금은 상설전시관도 예약이 필요하지요. 국보 299호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新元寺 盧舍那佛 掛佛幀) 부처님의 초록색 광배에 "원만보신노사나불"이라는 부처님의 이름이 적혀있습니다. 보관 가운데 지권인을 한 비로자나불을 모시고 있습니다. 화기에는 석가모니부처님이 가르침을 전하는 ..

國寶 바라기 2021.09.08

고 이건희회장 기증 명품전에서 국보 8건(128, 137-2. 134, 234, 241, 243, 255, 258, 287)

너무나 운 좋게 입장할 수 있었던  고 이건희회장 기증명품전에서 국보바라기인 나는 한 자리에서 국보 13건을 배관하였습니다.    이미 본 적이 있는 것은 짧게 소개하고, 처음 만난 것은 자세한 문화재청 설명을 덧붙입니다. 국보 128호 금동관음보살입상충청남도 공주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며 백제시대의 양식을 잘 보여주는 자그마한 보살입상으로 높이 15.2㎝이다. 머리에는 꽃무늬로 장식한 반원 모양의 관(冠)을 썼고 그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높이 표현되어 있으며, 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은 미소가 없어 근엄한 표정이다. 몸에 밀착된 얇은 옷은 신체의 굴곡을 잘 드러내주지만 옷주름은 선이 분명하지 않다. 어깨에서 몸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려오는 구슬 장식은 배 부근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어 다리 위에 ..

國寶 바라기 2021.09.08

"새보물 납시었네"국립중앙박물관(151-1~4,306,322,324,325,326,327, 320)

220. 7. 21. ~9. 27.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新國寶寶物展 "새보물 납시었네"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새로 지정된 국보와 보물을 한 자리에 보아 보여주는 귀한 전시회입니다. 코로나 19로 계획이 수정되었지만 드디어 모습을 보여주게 되어 다녀 왔습니다. 국보 제 306-3호, 삼국유사 권1~2 국보 제322-1호 삼국사기 국보 제 151-1호 조선왕조실록 정족산 사고본 국보 제151-3호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국보 제 151-4호 조선왕조실록 적상산사고본 국보 제324호 이제 개국공신 교서 국보 제 325호 기사계첩 국보 제326호 청자 '순화4년' 명 항아리 국보 제327호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 국보 제320호 월인천강지곡 권상

國寶 바라기 2020.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