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에는 석탑 하나, 불상 하나, 향로 하나, 불감 하나의 국보가 있었다.
그런데 팁 하나 더 붙었다. 기쁘다
국보 9호 정림사지 오층 석탑
어린이 입장료 500원인데 수학여행에서 늘 제외되는(?) 이 국보
......왜일까? 슬프다
국보 108호 계유명삼존천불비상(설명은 문화재청에서 퍼왔다)
이 비석모양의 불상은 상, 하 두 개의 돌로, 연꽃무늬 받침과 비석이 있고, 그 위에 두 단으로 이루어진 지붕모양의 덮개돌이 얹혀져있는 모양이다. 둥근 연꽃받침위에 세워진 비석형태의 몸통에는 아랫부분에 여래상과 보살상을 조각하고, 그 양쪽으로는 각기 4줄의 글씨를 새겼으며 나머지 몸체와 덮개돌 전면에는 작은 여래상을 가득 새겼다. 이는 천불신앙에 의한 천불상(千佛像)의 표현이다. 비석에 새겨진 글씨의 내용은 「계유(癸酉,679)년 4월 15일에 백제유민(百濟遊民)인 신도(信徒) 250인이 국왕대신(國王大臣), 7세부모(七世父母), 법계중생(法界衆生)을 위하여 이 불상을 만들다」
국보 288호 부여 능산리 석조 사리감: 부여박물관에 있다
백제 때 사리를 보관하는 용기로, 출토 당시 이미 사리감은 폐기된 상태로 사리 용기는 없었다. 내부에 사리 장치를 놓고 문을 설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감실의 좌·우 양 쪽에 각각 중국 남북조 시대의 서체인 예서(隸書)풍의 글자가 10자씩 새겨져 있는데, 명문(銘文)의 내용은 성왕(聖王)의 아들로 554년 왕위에 오른 창왕(昌王)[위덕왕(威德王)]에 의해 567년 만들어 졌으며, 성왕(聖王)의 따님이며 창왕(昌王)의 여자 형제인 공주가 사리를 공양하였다는 내용이다.
국보 293호 부여 규암리 금동 관음보살입상:부여박물관에 있다
금동관음보살입상 국보 친견은 덤이었다.
있는 줄도 모르고 갔다가 팁을 받은 듯한 기쁨이었으니까......
플래쉬는 NO!! 똑딱이 내 카메라에도 이정도는 잡혔다.
부여와 공주의 국보들.hwp 여행할 때 출력하여 사용하세요
부여와 공주의 국보들.hwp
1.43MB
부여와 공주의 국보들.hwp
1.3MB
'國寶 바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운 부석사 길 (국보 6건- 17,18,19,45,46,49, 111호) (0) | 2012.06.07 |
---|---|
경주에서 2 (국보 8건- 275,29,87,88,188,189, 190, 112호) (0) | 2012.06.05 |
경주에서 1 (국보9건-31,29,21,22,23,24,25,26,27,31호) (0) | 2012.06.05 |
간송미술관 국보들 (12건-65,66,68,70,71,72,73,74,135,149,270,294) (0) | 2012.06.01 |
공주박물관 국보들 14 건-154,155,156,157,158,159,160,161,162,163,164,165,108,287호) (0) | 2012.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