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4호로 지정되었다.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승탑으로 높이는 3.4m이다.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의 고달사지에 위치한다. 고달사는 764년(경덕왕 23)에 창건되었으며, 고려 제4대 광종 이후 역대 임금의 비호를 받아 크게 융성하였으나 언제 문을 닫았는지 확실하지 않다.
전형적인 8각 원당형(圓堂形) 승탑으로 신라의 양식이 비교적 잘 남아 있는 고려시대 초기 승탑이다. 상륜부가 없을 뿐 거의 완전하게 남아 있다. 승탑의 기단은 여러 매의 판석으로 짜인 8각지대석 위에 각각 1석으로 조성된 괴임대를 놓고, 그 위에 하대석·중대석·상대석을 얹은 모양이다.
하대석(下臺石)에는 옆면에 안상(眼象), 윗면에 복련(覆蓮)을 새겼고, 간석(竿石)에는 거북을 중심으로 하여 네 마리의 용(龍)과 구름 무늬를 조각했는데, 그 솜씨가 웅혼(雄渾)하고 대담하다. 상대석(上臺石)에는 앙련(仰蓮)을 돌리고 날씬한 8각 탑신을 놓았으며, 각 면에 문비형(門扉形)과 사천왕상을 새겼다. 비교적 두꺼운 옥개는 전각마다 높직한 귀꽃을 새겨 장식했다.
고르게 갖춘 조형(造形)과 세련된 조각수법은 장중한 기풍을 풍긴다. 또한 신라 석탑의 기본형을 따르면서도 고려시대의 웅장한 분위기가 감돈다. 일설에 따르면, 868년(경문왕 8)에 입적한 신라 말의 고승 원감(圓鑑)의 묘탑(墓塔)이라 하지만 확실하지 않다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퍼왔어요
옥개석 밑 부분에 비천상이 선명하게 남아 있고 너무 아릅답습니다.
문비 문양도 잘 남아 있고요.
고달사지에 있는 또 하나의 유명한 원종대사승탑입니다. 모양은 비슷한 것 같지만 다른 점이 많지요. 원종대사는 봉림산문의 개산조인 심희(진경대사)스님의 제자 찬유(869~958)입니다. 892년에 당나라에 가서 선법을 전해 받고 921년에 귀국하여, 지금의 경기도 여주 혜목산 고달사에서 선풍을 일으켰습니다.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례 사성암 (0) | 2016.11.29 |
---|---|
경기 용인 문수산 법륜사 (0) | 2016.11.11 |
경기 용인 와우정사 (0) | 2016.11.11 |
경기 여주 신륵사 2 (0) | 2016.11.11 |
경기 여주 신륵사 1 (0) | 2016.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