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50호 영암 도갑사 해탈문 (靈巖 道岬寺 解脫門)
설명들은 문화재청 홈피에서 퍼왔습니다
도갑사에서 가장 오래된 해탈문은 모든 번뇌를 벗어버린다는 뜻으로, 앞면 3칸·옆면 2칸 크기이며, 절의 입구에 서 있다. 좌우 1칸에는 절 문을 지키는 금강역사상이 서 있고, 가운데 1칸은 통로로 사용하고 있다. 건물 위쪽에는 도갑사의 정문임을 알리는 ‘월출산도갑사(月出山道岬寺)’라는 현판이 걸려 있으며, 반대편에는 ‘해탈문(解脫門)’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이 해탈문은 우리 나라에서 흔하게 볼 수 없는 산문(山門)건축으로, 춘천 청평사 회전문(보물 제164호)과 비교되는 중요한 건물이다.
나는 건축을 보는 안목이 없어서 일까요? 감동은 쪼끔 덜~~~~~~
국보 제13호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극락보전은 세종 12년(1430)에 지었으며,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으며 간결하면서도 아름다운 조각이 매우 세련된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극락보전 안에는 아미타삼존불과 29점의 벽화가 있었지만, 지금은 불상 뒤에 큰 그림 하나만 남아 있고 나머지 28점은 전시관에 보관하고 있다. 이 벽화들에는 전설이 전하는데, 극락전이 완성되고 난 뒤 한 노인이 나타나서는 49일 동안 이 법당 안을 들여보지 말라고 당부한 뒤에 법당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49일째 되는 날, 절의 주지스님이 약속을 어기고 문에 구멍을 뚫고 몰래 들여다 보자, 마지막 그림인 관음보살의 눈동자를 그리고 있던 한 마리의 파랑새가 입에 붓을 물고는 어디론가 날아가 버렸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지금도 그림속 관음보살의 눈동자가 없다. 이 건물은 곡선재료를 많이 쓰던 고려 후기의 건축에 비해, 직선재료를 사용하여 간결하면서 짜임새의 균형을 잘 이루고 있어 조선 초기의 양식을 뛰어나게 갖추고 있는 건물로 주목 받고 있다
건물을 보고 '해맑은 얼굴'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바로 이런 모습인가 싶군요.
기하학적인 비례로 아름다운 분할을 한 건축가의 솜씨가 놀랍지요?
아래 사진 세 건은 문화재청에서 퍼왔어요.
법당에 연등들이 달려 있어서 귀한 그림을 가리고 있으니 자세히 볼수도 없고 찍을 수도 없던걸요. ㅠㅠㅠ
국보 제313호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康津 無爲寺 極樂殿 阿彌陀如來三尊壁畵)
극락보전 후불벽 앞면에 그려져 있는 아미타삼존불벽화이다. 앉은 모습의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왼쪽에 관음보살이, 오른쪽에는 지장보살이 서 있는 구도를 하고 있다. 화면의 맨 위부분에는 구름을 배경으로 좌우에 각각 3인씩 6인의 나한상을 배치하고 그 위에는 작은 화불이 2구씩이 그려져 있다.
아미타극락회도 장면을 그린 이 벽화는 앞에 모셔진 아미타삼존불상과 매우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중앙의 본존불은 비교적 높은 연꽃대좌 위에 결가부좌한 모습으로 양어깨를 모두 감싼 옷을 입고 있으며 뒤로는 키모양의 광배가 표현되었다. 왼쪽에 서있는 관음보살은 머리칼이 어깨 위에 흘러내린 모습에 얇고 투명한 겉옷을 입고 있으며, 오른쪽의 지장보살은 오른손으로 석장을 짚고 왼손에는 보주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채색은 주로 녹색과 붉은 색을 사용하였다.
조선 성종 7년(1476)에 화원 대선사 해련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벽화는 온화한 색채나 신체의 표현 등 고려시대의 특징적 요소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간결한 무늬나 본존불과 같은 크기의 기타 인물 표현 등 조선 초기 불화의 새로운 특징들이 잘 나타나 있어 고려식 조선 초기 불화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촬영금지라고 써져 있네요 후레쉬없이 겨우 허락 받았어요. 몇년전에 갔을 때 보수 공사하면서 유리관 속에 여러 점이 모셔져 있었는데 성보박물관에 옮겼다고 했지만 열람시간인데도 이곳 전시관도 꼼짝 않고 문이 닫혀 있네요.
아래 것은 문화재청 홈피에 있는 사진입니다
'國寶 바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곡사 쌍봉사 승탑과 쌍계사 탑비 (국보 47, 53, 54, 57호) (0) | 2016.10.08 |
---|---|
장흥 보림사와 남원 실상사 백장암에서(국보44, 117, 10호) (0) | 2016.10.08 |
광주와 나주의 국보 3건(103, 143, 295호) (0) | 2016.10.08 |
국립대구박물관 국보 3건(182호~184호) (0) | 2016.09.18 |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국보187호 (0) | 2016.09.03 |